[한반도브리핑] 北발사체 잔해 인양 성공…한미, 합동분석 착수<br />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주간의 한반도 정세와 외교안보 이슈를 다시 한 번 정리해보고 그 의미들 되짚어보는 토요일 대담코너 '한반도브리핑'입니다.<br /><br />오늘도 외교안보, 국제분야 취재하는 이준삼 기자 나와 있습니다. 안녕하세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안녕하세요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 기자, 먼저 주요 내용부터 정리해주시죠~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우리 군당국이 지난 15일 밤에, 서해 바다에 가라앉아있던 북한의 발사체 잔해를 인양하는데 성공했습니다. 오늘은 이 소식과 함께 이번주 북한의 대내외적 동향들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31일, 서해 바다로 추락했던 북한의 발사체 '천리마 1형'의 잔해가 보름 만에 인양 됐습니다. 한미 당국이 함께 정밀 분석에 착수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이 지난 15일 밤에 순안 일대에서 동해 상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 두 발을 발사했습니다. 한미의 대규모 합동화력훈련에 대한 직접적 반발로 풀이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이 상반기 경제성과를 결산하고 대외 전략을 가다듬기 위한 당 전원회의를 소집했습니다. 신냉전 기류 속에 중국, 러시아와의 결속을 다지고 국방력 강화 방안이 집중 논의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정부가 3년 전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했던 북한을 상대로 국내 법원에 거액의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냈습니다. 개성공단과 금강산 시설에 대해서도 법적조처를 검토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저희가 지난주 이 시간, 군 당국이 차근차근 작업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이니까 인양까진 좀더 시간이 걸릴 것 같다, 이렇게 말씀드렸었는데... 그젯밤에 무사히 인양 작업이 완료됐습니다. 먼저 이 소식부터 살펴볼까요~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지난 번에도 말씀드렸던 것처럼, 이 잔해가 수심 75m 해저에 가라앉아 인양 과정 자체가 굉장히 까다롭고, 작업환경 자체가 굉장히 위험한 상황이었는데요.<br /><br />조류가 거세고 수중 가시거리도 수십cm에 불과한 데다가 특히 무게 탓에 잔채 몸체의 30% 가량은 해저 펄 속에 박혀 있었다고 합니다.<br /><br />처음에는 잔해의 양 끝에 'ㄷ'자 모양의 강철 고리를 연결해 인양을 시도했었는데 중간에 접합 부위가 끊어질 뻔해서 중단됐고, 다시 심해 잠수 작업으로 구멍 등을 뚫어서 와이어를 설치하는 그런 고된 작업이 이어졌다고 합니다.<br /><br />이렇게 끌어올린 발사체 잔해는 직경이 2.5미터, 길이 12미터 크기라고 하는데요, 전체 3단 로켓의 2단부로 추정이 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이 이 발사체에 탑재했다고 주장하는 군사정찰위성을 비롯해 1단, 3단부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는데, 군 당국이 주변 해역에 대한 수색 작전을 계속 이어 나가고 있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미 당국이 벌써 이 잔해에 대한 정밀 분석에 착수했다고 하셨는데, 북한의 로켓이나 인공위성 기술 실체를 이번에 좀 속시원하게 들여다 볼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해당 잔해는 외부에 공개된 직후 바로 군사정보기관으로 넘겨졌고요, 말씀대로, 현재 한미 당국이 합동 분석에 들어간 상황입니다.<br /><br />화면에서 볼 수 있다시피, '천마'라는 검은색 글씨도 뚜렷하게 보일 만큼, 상당히 양호한 상태로 인양이 됐는데요.<br /><br />따라서 이 부품들을 분석하고 역추적하면, 국제사회가 사실상 장거리 탄도미사일로 평가하는 북한 발사체의 전반적 기술 수준, 더 나아가 대북 제재를 위반한 해외 부품 조달 여부 등도 파악해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데요.<br /><br />특히 전문가들은 이 발사체의 1단부 엔진은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에 사용된 것과 같은 반면에, 2단 엔진은, 새로 개발한 신형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물론 어제 일부 언론에서, 잔해 내부에 엔진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, 이런 보도도 나온터라, 과연 어떤 핵심 부품들이 온전하게 남아있는지는 아직은 좀 더 지켜봐야할 것 같고요.<br /><br />다만, 설령 엔진이 발견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다른 부품들을 정밀 분석해본다면 북한의 기술을 다양한 각도에서 평가하고 들여다보는 그런 아주 드문 계기라는 건 분명해 보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군사정찰위성 2차 발사를 예고해놓은 북한이 갑자기 단거리 탄도 미사일을 쐈습니다. 지난 4월 이후 63일 만의 미사일 도발이라고 하죠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, 지난 15일 오후 7시 25분부터 10여 분 사이에 북한이 순안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을 발사했습니다.<br /><br />이 미사일들은 각각 약 11분 간 780여 ㎞를 비행한 뒤 동해 상에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일본은 특히 이 미사일들이 모두 자국 배타적경제수역 안쪽에 떨어진 것으로 보고 있는데요<br /><br />전문가들은 비행거리와 고도 등을 고려할 때 이 미사일들이 비행 중 회피, 변칙 기동이 가능해서 북한판 '이스칸데르'로 불리는 KN-23 개량형일 가능성이 크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말씀하신대로 북한이 위성발사라고 주장하는 천리마 1형 발사를 빼면, 지난 4월 13일 동해상으로 신형 고체 연료 대륙간탄도미사일 '화성-18형'을 시험 발사한 이후 두달여 만에 다시 탄도미사일 도발을 재개한 평가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도발 배경에 대해선 어떤 분석들 나오고 있나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미 군당국의 합동화력격멸훈련에 대한 직접적인 반발 행보로 해석이 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번 훈련은 한미 연합전력과 육해공 합동전력이 최신무기들을 동원한 화력 시범인데,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12일 사이에 이미 4차례 진행이 됐습니다.<br /><br />양국 첨단 전력이 610여 대나 동원된 역대 최대 규모 훈련이라고 하는데요, 사실 북한도 이 훈련이 굉장히 신경이 쓰였던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특히 발사 직전에 국방성 대변인 명의의 '경고 입장'에서 이미 대응 도발을 예고했고, 또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화력훈련을 주관하는 날 미사일을 쏜 점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군 당국은 앞으로 북한이 각종 한미 훈련에 대응해 군사적 도발 수위를 끌어올릴 수 있다고 보고 관련 동향들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 내부적으로는 현재 노동당 전원회의가 열리고 있죠. 회의 내용들, 공개된 게 있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어제 시작된 회의는 짧으면 사흘, 길면 엿...